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6건)

김대현 -무등산 한시 111편
무등산한시선무등산에 대한 한시를 옛 문헌 속에서 찾아내어, 시대 순으로 편집하고 번역한 책이다. 우리나라 스물 두 번 째 국립공원인 무등산은 남쪽 지방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예로부터 수많은 사람들이 탐방하고 있다.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의 시문집에서부터 현대 의재 허백련의 시문집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옛 문
지산유고 志山遺稿
고재현(高在鉉, 1885~1967) 1책, 필사본. 고재현은 초명이 재봉(在鳳)이며, 자는 치구(致球)이고, 호는 지산(志山)이다. 1885년 12월 24일 무안읍 용월리 토동 집에서 태어났다. 일곱 살에 입학하였는데, 서당 선생이 그의 재능을 시험해 보고자 매일 통사 5백 행을 과제로 내었는데 다음날 아침에 모두 외우고서 한 글자도
봉산정 鳳山亭
근세 초 기의 한학자 고재현(高在鉉, 1885 ~ 1967)이 지어 학문을 강구하며 후학을 가르치는 강학터로 사용했다.그는 고재현은 초명이 재봉(在鳳)이며, 자는 치구(致球)이고, 호는 지산(志山)이다. 무안읍 용월리 토동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후손으로 민재(敏齋) 박임상에게 나아가 공부하였
후석유고- 오준선
후석 오준선의 <후석유고>『후석유고』는 한말의 유학자인 오준선의 목활자본 시문집으로, 25권 12책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 권1, 2는 오준선의 詩와 賦 451수가 수록되어 있다. 사우들과의 차운시 및 輓詩를 비롯해서 述懷 및 景物詩 등 다양한 내용의 시를 시기별로 편집하였다. 스승인 奇正鎭을 비롯해서 宋近洙,
류인석(柳寅奭)
유인석(柳寅奭)의 자는 춘백(春伯), 호는 수당(睡堂)으로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아버지는 유하영(柳河永, 號 農山), 어머니는 파주(坡州) 염씨(廉氏) 재묵(在黙)의 딸이다. 1859년(철종 10) 5월 9일 태어나 광산구 삼도면에서 살다가 1931년 2월 25일에 세상을 떠났다. 수당(睡堂) 류인석(柳寅奭)은 문화 류씨(文化 柳氏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
정의림鄭義林의 자는 계방季方, 호는 일신재日新齋이며 본관은 광산으로, 綾州 大德에서 鄭濟玄과 珍原朴氏 致聖의 딸 사이에서 1845년(憲宗 11) 11월 출생했다. 그의 선조들은 조선시대 때 纘 이후 나주에 줄곧 거주하였으나, 그의 증조 埰가 영암으로 이주하고 조부 加錫이 다시 능주에 이주하였으며, 정의림의 조부
후암정 後巖亭
광산구 진곡안길 6 (진곡동) 광산구 하남산단 9번도로 외곽도로 끝부분 왼쪽 농로 길로 들어서면 하남동 진곡마을이 나온다. 진곡마을회관 옆에는 향나무와 대나무 등이 어우러진 숲속에 후암정이 있다. 원래 광산군 거치면에 속한 지역으로 조선 중종 때 순천박씨가 나주군에서 옮겨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 정자는
용진정사 湧珍精舍
광산구 본량동 서로 180-68   해발349m의 용진산 남쪽 깊숙한 골짜기에 자리한 용진정사는 한말의 대학자이며 우국지사이기도 한 후석 오준선(1851∼1931)이 국난과 세상의 티끌을 피해 숨어살면서 후진을 가르친 곳이다. 1985년 광주시 문화재 자료 제7호로 지정되었다.원래 용진사(湧珍寺 상원사)가 자리 잡았던 절
소해정蘇海亭 경의재景義齋
북구 소해로 11 (일곡동)   *경의재 소해정은 소해蘇海 노종용盧種龍(1856~1940)이 1930년에 세웠으며 그의 아호에 따라 이름을 지은 정자다. 노종용은 대촌동 양촌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원풍정願豊亭 건립자인 농암 노재규의 아들이다. 노종용은 연재 송병선, 심석재 송병순, 면암 최익현, 송사 기우만 등 한말 우국
만송재 晩松齋 만산재晩山齋
남구 이장동 (황산마을) 만송재는 외당畏堂 고한주高漢柱(1871~1959)가 살던 뒷산에 지어 후학을 가르쳤던 서당이다. 나중에 만산재晩山齋로 개명했다. 고한주는 광주 장산리(이장동 황산마을)에서 태어났다. 간재 전우와 연재 송병선 밑에서 공부하여 성리학의 종지를 알고 이치를 깨우쳐 실천했다.그는 이理와 기氣는 성리
만주사 / 晩州祠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515송병선(宋秉璿) 노종룡(盧種龍)을 배향하는 사우1944년 창건규모사당 :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경의재(景義齋) :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농암정(聾岩亭) : 정면 5칸, 측면 3칸, 팔작지붕향사인물송병선(宋秉璿, 1836~1905) 본관-은진(恩津) 자-화옥(華玉) 호-동방일사(東方一士)‧연재
원풍정(願豊亭) 소해정(蘇海亭) 만주사당(晩洲祠堂) 경의재(景義齋 )
북구 소해로 11 (일곡동)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은 조선 시대 광주목 석제면에 속했고, 호구총수에 일곡촌(一谷村)이 기록되어 있어 지명의 유래가 오래되었음을 보여 준다. 그래서 전통적 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일신재나 그중에 구한말 일대의 선비들이 구국의 일념으로 머물렀던 유서 갚은 곳이다. 원풍정(願豊亭)
유사-설강유사선생묘갈명
광주시 광산구  1885년瑞山柳氏鍾城府使雪江公諱泗 설강유사선생묘갈명은 덕은 송병선이 짓다.유사柳泗(1503~1571)는 조선중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이며 자는 중연(仲沿), 호는 설강(雪江)이다. 남구 유등곡柳等谷(현 이장동 양과동) 출신으로 봉훈랑(奉訓郞, 문관 또는 종친에게 준 종 5품 벼슬) 경흥교수(慶興敎
권율-도원수충장권공창의비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內)행주산성 전투로 잘 알려진 권율 장군의 도원수충장권공창의비(都元帥忠莊權公倡義碑)는 사적비군 입구 은행나무 정중앙 앞자리에 자리하고 있다. 가장 갚진 비다. 권율 장군은 팔도 총사령관이었으며 광주목사와 도원수를 지내며 이순신 장군과 함께 육지는 권율, 바다는
영모재1
서구 서쪽 30리영모재永慕齋는 『광주읍지』(1924)에 주의 서쪽 30리인 조교동造橋洞에 있다고 했다. 진사 둔암遯庵 김덕일金德鎰 및 참의 소천素泉 김성도金成道가 건립했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1836~1905)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1846~1916)의 기문을 비롯하여 교리 이병관李炳觀(1858~ ?), 진사 임원철林源喆의 차운
만취정2 晩翠亭- 김용희
서구 매월동 (동산부락)만취정(晩翠亭)은 1925년에 김용희(金容希, 1860.5.27~1927.7.21)가 매월동 화개산 기슭에 처소로 지었다. 김용희의 호는 송암(松菴) 또는 만취정이다. 유고가 2권 있다고 족보에 기록되어 있으나 전해지지 않는다. 현와 고광선이 행장을 썼다. 삽봉 김세근 장군의 후손이다.만취정은 『광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